web analytics

2025년 만나이 계산법 계산기(+연나이 차이)

2025년 만나이 계산법 및 계산기와 연나이 차이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만나이 제도로 바뀌고 나서 영 헷갈리다 보니 나이 세기를 포기하고 지냈는데요. 이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서 기억이 안 난다는 생각에 만들어 보았습니다. 앞으로 다가오는 25년의 본인 나이까지 깔끔하게 확인할 수 있으니 해당 페이지를 즐겨찾기 하신 후 궁금하실 때마다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만나이 계산기

출생 연도를 입력한 뒤 [계산하기] 버튼을 누르세요. 현재 만나이와 생일 전 나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만나이 : 태어날 때부터 0살로 치며, 생일이 올 때마다 1살이 더해지는 방식
  • 만나이 계산법 : 현재 연도 - 출생연도(생일이 안 지났을 경우 추가 -1)
    • ex1. 2024-1991-1=32세
    • ex2. 2024-1991 = 33세

2025년 만나이 조회

출생 연도를 입력한 뒤 [조회] 버튼을 눌러 연도별 만나이를 확인하세요. 아래의 표는 생일 이후 나이이므로, 생일 전 나이는 -1을 빼주면 됩니다.

⏩️ 2025년 확정 공휴일 확인하기

만나이 연나이 차이

만 나이 연 나이 차이가 궁금하신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. 원래 대한민국은 연나이를 기준으로 세었는데 정권이 바뀌면서 새롭게 만 나이로 카운트하기 시작했습니다.

만 나이는 태어날 때부터 0세로 치고 생일 이후 마다 1세씩 올라가는 거라면, 연 나이는 태어날 때부터 1세로 치고 매년 1일이 될 때마다 1살이 더해지는 것입니다.

연나이를 적용했을 때 법률이나 행정적으로 혼란이 있던 사례가 많아서 전국의 18세 이상 남녀 약 71%가 찬성하여 바뀌게 된 나이 계산 방법입니다.

만나이 계산법 FAQ

만 나이 계산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?

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주면 되는데, 혹시라도 생일이 지나지 않은 경우 1을 추가로 더 빼주면 됩니다.

연 나이와 만 나이 뭐가 다른 것이죠?

말 그대로 연 나이는 태어난 순간부터 1살로 해가 지날 때마다 한 살씩 먹는 방식이라면 만은 태어난 해는 0살이고 매년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추가가 됩니다.

왜 만 나이로 바뀌게 되었나요?

행정적인 처리나 나이에 관련한 소통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오류들이 꽤 많아서 국제 기준에 맞추어 변경하게 되었습니다.

함께 보면 좋은 내용

📍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>
📍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>
📍가족관계증명서 발급 >

2025년 만나이 계산법

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?

별을 눌러주세요!

평균 평점 5 / 5. 투표수: 444

이 게시물은 구독자의 반응이 좋은 글입니다. 함께 평가해 보세요.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